GAT General Aptitude Test

신학기(신입생) 적응력검사 일반 검사결과표
연구자ㅣ한국적성연구소
학생의 능력과 상대적인 강약점을 파악하여 진로에 대한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입니다.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일반능력을 평가하고, 능력요인의 이론적 조합을 통해 진로지도에 도움이 되는 진로 유형을 파악합니다.
검사자정보
학교/소속 혜안고등학교 학년/반/번호 1차:1학년 01반 03번
2차:1학년 01반 03번
이름 1차:고일삼
2차:고일삼
성별 1차:남
2차:남
검사실시일 1차:2023년 01월 10일
2차:2023년 10월 10일

1. 능력요인  | 학업수행과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지능요인을 측정

단위 : T점수

영역별 프로파일 그래프
요인 T점수(백분위) 수준  
 
결정
지능
언어이해 1차:56(76)
2차:27(1.6)
1차:높음
2차:매우낮음
문장구조파악 1차:41(21)
2차:44(33)
1차:낮음
2차:낮음
언어유추 1차:44(33)
2차:44(33)
1차:낮음
2차:낮음
수리력 1차:55(75)
2차:47(43)
1차:보통
2차:보통
유동
지능
공간시각화 1차:37(12)
2차:65(94)
1차:낮음
2차:높음
공간지향성 1차:49(48)
2차:59(84)
1차:보통
2차:높음
도형유추 1차:48(46)
2차:55(75)
1차:보통
2차:보통
계획력 1차:45(36)
2차:40(18)
1차:낮음
2차:낮음
  • ※ T점수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인 표준점수로써 50점을 기준으로 이보다 위의 점수는 평균점보다 높고, 아래의 점수는 평균점보다 낮은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T점수가 70점 이상이면 전국기준 2.5% 이내에 해당하는 상당히 높은 점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백분위

    전체 집단을 100으로 보았을 때, 한 개인의 점수가 아래에서부터 몇 번째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백분위 80은 전체를 100으로 보았을 때 자기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79명, 높은 학생이 20명 있다는 뜻입니다.

요인 설명

요인
요인 설명
결정
지능
언어이해 적절한 상황에서 정확한 언어를 구사하고 변형할 수 있는 학습능력과 언어적 지식
문장구조파악 정확한 문장을 신속하게 구사하고, 뒤섞인 언어적 과제를 전체로 의미화 할 수 있는 언어구성, 언어유추능력
언어유추 언어 간의 관계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규칙을 찾아내는 추상적, 논리적 사고력
수리력 시각적 집중력과 수리연산능력
유동
지능
공간적시각화 그림 자극을 정신적으로 조작, 회전, 전환, 투사하는 내적표상 형성 능력
공간지향성 공간 속 대상의 배열을 유지하면서 회전하고, 회전에 따른 지각적 변별력
도형유추 그림 자극을 정신적으로 조작하여 일반적 규칙을 찾아내는 능력
계획력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상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계획능력과 예견능력

2. 유형별 적성평가

[현장형] 능력 요인을 바탕으로 상대적인 강점을 파악

단위 : T점수

영역별 프로파일 그래프
요인 T점수(백분위) 수준  
 
현장형 1차:50(50)
2차:56(76)
1차:보통
2차:높음
연구형 1차:44(33)
2차:46(40)
1차:낮음
2차:보통
예술형 1차:46(40)
2차:48(46)
1차:보통
2차:보통
사회형 1차:49(48)
2차:50(50)
1차:보통
2차:보통
기업가형 1차:48(46)
2차:38(14)
1차:보통
2차:낮음
사무형 1차:49(48)
2차:56(76)
1차:보통
2차:높음

요인 설명

요인
요인 설명 해석
현장형 현장형은 건축 분야, 기계 조작, 군인, 스포츠 등 현장에서 활동하고 건장한 신체조건이 요구되는 분야에 잘 어울리는 유형입니다. 1차:공학계열과 농림환경계열에 가능성이 보입니다.
2차:공학계열과 농림환경계열에 가능성이 큽니다.
연구형 연구형은 이론탐구, 새로운 사실 발견 등 과학적이거나 추상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분야에서 잘 어울리는 유형입니다. 1차:연구형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2차:연구형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예술형 예술형은 예술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분야에 잘 어울리는 유형입니다. 구체적인 분야는 예능 특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1차:예술계열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2차:예술계열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사회형 사회형은 사람과 어울려서 일하거나,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분야에 어울리는 유형으로, 종합검사 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1차:사회형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2차:사회과학, 간호보건계열에 가능성이 보입니다.
기업가형 기업가형은 홍보, 정치 등 사람을 관리하거나 경쟁하는 분야에 대한 유형으로, 종합검사 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1차:기업가형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2차:기업가형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사무형 경상계열이나 인문계열에 가능성이 보입니다. 1차:사무형에서 적성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2차:경상계열이나 인문계열에 가능성이 큽니다.

3. 진로선택 방향

단위 : T점수

진로선택 방향
적성분야 T점수(백분위) 수준  
 
인문·사회분야 1차:47(43)
2차:39(16)
1차:보통
2차:낮음
인문·사회분야
인문·사회분야
자연·공학분야 1차:48(46)
2차:56(76)
1차:보통
2차:높음
인문·사회분야
인문·사회분야

4. 일반능력평가

1차   2차  

일반능력평가 그래프
               
수준 매우낮음 낮음 보통 하 보통 보통 상 우수 최우수
백분위 30% 10.4% 26.4% 73.2% 89.3% 96.9% 99.9%

※ 8개의 능력요인을 하나의 점수로 계산하여 수준을 표시함.

일반능력평가(수준)
1차:고일삼  2차:고일일  
1차:보통  2차:보통  

5. 종합의견

1차:고일삼 학생은 적성유형이 현장형, 사회형, 사무형의 순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학을 진학할 경우에는 공학계열, 농림환경계열이 잘 맞습니다.

2차:고일일 학생은 적성유형이 현장형, 사무형, 사회형의 순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학을 진학할 경우에는 공학계열, 농림환경계열이 잘 맞습니다.